top of page

SHIN, HYUN KYOUNG

나의 작업은 아르토그래피(A/R/Tography, artist, researcher, teacher로서의 연구방법)로서전통 교육과 미술의 특성을 "시서화 수행"으로보고 글과 그림으로 표현하는 나름의 '오래된 미래'를 제시하며 일상적 공간에서 노닐고자 한다.

 My Arting Story

미술이
소통이라구요.
일상이라구요.
그리고 과정이라구요
과정을 아티스츠 북으로(사진16-1)
나누는 일상이라구요.

똑똑.
살짝 다가갑니다

하나의 점, 이제 시작합니다.
그 점을 연결하여 선이 되고
선과 선이 만나 꼴을 이루어
그림으로, 그리움으로 번져 나갑니다.

미대 들어가 3학년부터 전공이 나뉘자 친구따라 동양화를 전공하게 되었다.

관악 캠퍼스 풍경과 누드 군상으로 졸업 전시를 했다.

졸업전.jpg
산수.jpg

개인전 (초대)

< 원그림아 놀자!> 

사이아트도큐멘트/2016   

 <신현경의 아티스트 북>

부산 보수동 책방골목 문화관/2012

<동양화 그리고 일상>

서울 갤러리 정; 부산 마린 갤러리/2005

 <물 이야기>

 갤러리 S.P. 서울: 일본 사가갤러리/2000

<나는 어떻게 모나리자를 문화적 쟁점 안에서 보고 있는가?>

서남캘러리/1997

<신현경의 새까만 꿈>

박점순갤러리/1995

<새하얀 신전: 정신대 할머니들의 이야기>

MN대 MFA 청구전/ K.E.Nash gallery: USA Mpls/1994

단체전(초대)

광주비엔날레 현장전 <광주의 페르소나> 

5.18 자유공원/2004

99 여성 미술제, 팥쥐들의 행진/ 주제 : 집 속의 미디아 <일상> 

예술의 전당/1999

제2회 광주비엔날레 특별전 <북한 어린이를 위한 모금함> 5.18

묘역야외전시/1998

국제 복사 미술제 <다시 쓰인 나의 그림일기> 

서울 Gallery Art beam/1995

또 하나의 문화 10 주년 기념 잔치 <정신대 할머니들의 상한 영혼을 위하여>

이화여자 대학교 체육관 구관/1994

  외  다수

이력

•학  력

2012      University of Minnesota 대학원 졸업, (Education, Curriculum and Instruction, Ph.D. Major: Art education, Related Field: Complementary Therapy and Spiritual Healing) 

2006 ~       부산대학교 예술문화 와 영상매체 박사수료 (미학 전공)       

1993          University of Minnesota 대학원 졸업(M.F.A., Major: Art, Related Field: Zenga)

1991           University of Minnesota 대학원 졸업(M.ED, Major: Art Education)

1986-87     Meadowbank Technical College, Sydney Australia

1978           서울대 회화과 졸업 (동양화 전공)

1974이화여고 졸업

•경   력  

2013- 現        눈메 대표, 눈메아트북스와 눈메마음놀이학교 운영

1997- 2019    영산대학교 자유전공학부 교수

2015- 2017    민족미술협의회 부대표

2013- 2016    여성문화예술기획 대표

2007- 2008    미네소타대학교 미술대학, a visiting artist

2003-6         미술치료, 여성내공센타 살맛,

1996-2006    여성문화예술기획 강사 및 이사, 자기표현 워크샵: 자아를 찾아가는 미술여행 진행

1980-86       미술과 강사, 계원예술고등학교(동양화, 서예)

• 해외 작업 활동 경력 

A visiting artist/University of Minnesota/2007,

An artist registry/ The Drawing Center: New York/2008~

•논문

 Art as Visual Literacy in Literati’s Shishuhua: Self-expressive Visual Education as a Primary Discipline/미네소타대 박사논문/2012 외 다수

•저서 

너의 그림에 대해 말해 주겠니?/청년사/2001

 우뇌로 보고 느끼는 색칠놀이/호밀밭/2013 외

• 워크샵 진행

 문화예술힐링-가족공감 프로젝트/문화공간 봄, 부산 문화예술교육위원회 지원/2013

 “자아를 찾아가는 미술 여행”/여성문화예술기획/1996~2012,

먹과 붓으로 놀자/부산시립미술관/2003,

어린이 낙서미술 워크샵/부산아트갤러리/2004 외

작가의 말 

나의 작업은 보고 느끼는 세상 풍경을 그려내는 과정 그대로, 마치 일기 쓰듯이, 즐거이, 마음껏 풀어내는 자리다. 자신의 존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그 본성에 따라 화폭을 만들어 가다보면,  ‘나도 모르게 하나의 사이를 지나가며’ 세상을 다시 열게 된다. 이렇게 본 것을 그림 속에 펼쳐 그리는 과정은 나를 찾아가는 여정이다. 이 여정이 곧 나 자신을 보며, 세상과 사람들을 만나 노니는, 놀이와 치유로서의 미술이다. 
미술작업 외에도 함께 나누고, 공감하는 협동작업의 자리를 아티스츠북artist’s book으로 만들고, 이를 다시 현장에서 “나를 찾아가는 미술 여행”워크샵으로도 연결했다. 이 과정을 공유하기 위하여, 또 누구나 쉽고 재미있게 즐길 수 있는 미술이고자 워크북을 만들었다. 
이와 같은 아르토그래피(A/R/Tography, artist, researcher, teacher로서의 연구방법)적 접근은 전통 문인들의 시서화적 풍류와 신명을 되살리는 작업이다. 시서화 수행이라는 '오래된 미래'를 일상적 공간에서 실현하려는 것이다. 

가족

image_edited_edited.jpg
image_edited.jpg
image.png

​남편 허구생

역사학자이자 번역가이다. 

 큰아들 세원

경제학자이다. 믿음직한 큰 아들네는 달라스에 살아 언제나 그립다. 

image.png

 막내 세문

막내는 게임회사에 근무중.

​아이가 들어서면 집안이 따듯해진다.

모임

image.png
KakaoTalk_20230430_112807699.jpg
KakaoTalk_20220630_110547445.jpg
temp_1677825765630.-2046456160.jpeg

아카데미 할미

생명학 연구회

윤중과 함께

 K-do

‘Annine van der Meer의 Wisdom Returning’워크샵에서 만나 아카데미 할미를 결성하여 여신에 대한 번역 모임도 하고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김지하의 생명철학을 공부하는 모임으로 한달에 한번 만나 세미나를 하고 있다.

21년 겨울에 윤중의 신성과 하나되어 프로그램으로 시작하여 선가 수련과 공부를 하고 있다.

인문학자와 작가들이 모여 질문으로 시작하는 토론 그룹이다. 내년 24년에는 에코패미니즘미술을 주제로 2월에는 강남 정갤러리에서 3월에는 미국 리버사이드갤러리에서 전시를 추진하고 있다.

movie & drama

The Hours

Matrix

반지의 제왕

Harry Porter

books

헤르메쓰의 기둥

​소피의 세계

속삭이는 이미지

music

©2023 by 속삭이는 이미지. Proudly created with Wix.com

bottom of page